1. 적혈구 수 계산
(1) 희석액
- 혈액과 삼투압이 등장액으로 응집을 방지하는 시약
: Hayem's sol, Toisson's sol, Gower's sol, 0.85% NaCl, Dacie's sol, Strong's sol
(2) 계산
- 혈액 0.5 mark, 희석액 101 mark 채울 때
- Chamber에서 계산된 R X 5(계수면적) X Chamber의 깊이(10) X 희석배수(200)
* 구획마다 20개 이상 차이나면 재검
(3) 정상치
남: 4.5~5.5 X 10에 6승/ul
여: 4.0~5.0 X 10에 6승/ul
2. 적혈구 지수
(1) MCH
- 평균 적혈구 혈색소량
- MCH = Hb (g/dL) x 10/RBC 수(백만 단위)
- 참고치 = 28~32 pg
- MCH감소 = IDA, Thalassemia, Sideroblastic anemia
(2) MCV
- 평균 적혈구 용적
- 적혈구 응집 시 증가
- MCV = Hct(%) x 10/RBC 수(백만 단위)
- 참고치 = 80~100 fL
- MCV감소 = IDA, Thalassemia, Sideroblastic anemia
- MCV증가 = 거대적혈모세포빈혈
(3) MCHC
- 평균 적혈구 혈색소 농도
- MCHC = Hb (g/dL) x 100/Hct(%)
- MCHC = MCH x 100/MCV
- 참고치: 32~36 g/dL
- MCHC증가 = 선천성 구형적혈구증
- MCHC감소 = 저색소성 빈혈
(4) RDW
- RBC의 용적에 따른 분포, anisocytosis의 지표
Price-Jones 곡선은 직경에 따른 분포
- RDW증가 = 선천성대소부동증
- 참고치 : RDW-CV = 11.5~14.5%
RDW-SD = 35~47 fL
3. 백혈구 수 계산
(1) 희석액
- 적혈구는 용혈되고 백혈구만 남음, 유핵적혈구는
백혈구로 계산됨
- Turk sol.
: Glacial acetic acid -> RBC용혈 시키는 기능
Gentian violet -> 핵염색
- 0.1 N HCI -> RBC 용해
(2) 계산(4개의 대구획)
- 백혈구 수 x Chamber 깊이(10) x 1/4 x 희석배수
* 대구획마다 12개 이상 차이가 나면 재검
(3) 백혈구 수의 교정
- 감별검사에서 백혈구 100개당 nRBC(유핵적혈구)가
10개 이상일 때 교정
- 교정백혈구 수
: 교정 전 백혈구 수 x 100/ ( 유핵적혈구 수 + 100)
(4) 참고치
: 4~10 x 10에 3승 /ul
4. 혈소판 수 계산
1. 희석액
- 직접법
: (1) Rees and Ecker method
-> Rees and Ecker sol.
(2) Brecher-Cronkite method
-> 1% ammonium oxalate sol.
- 간접법
: (1) Fonio’s method
-> 14% Magnesium sulfate (MgSO4)
2. 참고치
: 150~350 x 10에 3승 /uL
- 호산구 수 계산
(1) 호산구의 절대치를 uL (1mm2)으로 산출하는 방법
(2) 희석액
: Randolp sol., Hinkelman sol., Dunger sol.,
Manner’s sol, pilot’s sol.
(3) 아침에 가장 낮고 야간이 가장 높다
(4) Thorn test
: 부신피질기능이 정상인 사람은 ACTH의 자극을 받으면
cortical hormone의 작용으로 4시간 이내에
호산구가 50% 이하로 떨어지는 원리
- Cushing 질환
: 0~30/mm3
- Addison’s 질환
: 호산구 변화 없음
(5) 참고치
: 70~440/uL
5. 그물적혈구 수 계산
(1) 임상적 의의
: RNA를 함유하고 혈색소 과정에서 핵이 없어져
핵이 없는 어린 적혈구로 골수 내 적혈구 조혈능력의
지표
(2) 초생체 염색
: EDTA 전혈을 염색시약과 동량으로 모세관에서 혼합 후
도말 검경
- New methylene blue
- Brilliant cresyl blue
(3) 그물적혈구의 계산방법
그물적혈구 백분율
: 적혈구 1,000개 중의 그물 적혈구를 백분율로 환산
: 참고치 = 성인(0.5~1.5%), 신생아(2~6%)
절대 그물적혈구수
: (환자의 적혈구 수 x 그물 적혈구 백분율)/100
: 참고치 = 60,000~ 100,000/uL
교정 그물적혈구 백분율
: (교정전 그물적혈구 백분율 x 환자의 Hct)/45
RPI(그물적혈구 생성지수)
: 교정 그물적혈구 백분율/말초혈액 성숙기간(일)
: Normal RPI = 2.0
: RPI >2.0 = 적혈구 파괴의 증가,
RPI < 2.0 = 적혈구 생산의 감소
(4) 증가(골수조혈기능 항진)
- 용혈빈혈, 급성실혈, 지중해빈혈, 낫적혈구 빈혈,
철적혈모세포빈혈, 태아적혈모구증
(5) 감소(골수조혈기능 불량)
- 재생불량빈혈, 철결핍빈혈, 악성빈혈, 백혈병,
골수 무형성증, 기타 골수장애 질환
수고하셨습니다!
다음글은 혈액학 실기3을 포스팅하겠습니다. :)
'임상병리사 국가고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임상병리학과 국가고시 혈액학 완벽정리!!!-혈액학 실습 3 (0) | 2023.03.11 |
---|---|
임상병리사 국가고시 혈액학 완벽정리!!!! -혈액학 실습1 (0) | 2023.03.07 |
임상병리사 국가고시 혈액학 완벽정리 !!! - 혈액질환 2 (0) | 2023.03.06 |
임상병리사 국가고시 혈액학 완벽정리!!! - 혈액질환1 (0) | 2023.03.06 |
임상병리사 국가고시 혈액학 완벽정리!!!! -혈소판, 응고인자 (0) | 2023.03.05 |
임상병리학과 국가고시 혈액학 완벽 정리 !!! -백혈구 (4) | 2023.03.05 |
임상병리사 국가고시 혈액학 완벽정리!!! -이상 적혈구 (0) | 2023.03.03 |
임상병리사 국가고시 합격 혈액학 완벽 정리 1 (0) | 2023.03.0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