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임상병리사 국가고시

임상병리사 국가고시 합격 혈액학 완벽 정리 1

by 함쯔 2023. 3. 3.

 

오늘은 임상병리사 국가고시 혈액학을 정리해 볼게요.

여러개로 나누어서 올릴테니 공부에 꼭 도움되시길 바래요.  :)

올해 국가고시 합격 기원!!

.

.

.

.

.

.

  • 혈액의 구성

혈액은 크게 혈장 54%, Buffy coat 1%, 적혈구 45%로 이루어져있고,

그 속에 단백질, 물, 혈소판, 백혈구, 적혈구가 있으며,

단백질의 종류알부민, 글로불린, 섬유소원 순으로 많이 존재합니다.

Buffy coat는 혈소판과 백혈구로 나뉘며 WBC는 호중구, 림프구, 단구, 호산구, 호염기구 순으로 많습니다.

  

 - 정상인의 혈구 비율백혈구: 혈소판: 적혈구 = 1: 30: 500

 - 혈액의 PH 7.4

 - 혈액의 비중 전혈 1.060, 혈장 1.026

 적혈구 -> 과립구 -> 단구, 림프구 -> 혈소판 -> 혈장 

  •  혈액의 기능

- 적혈구의 기능 :가스대사

-백혈구의 기능: 면역 방어작용

-혈소판 기능: 지혈작용

- 혈장 기능: 영양분, 노폐물, 호르몬 운반

-알부민 기능: 전해질 및 수분조절

-혈액 내 수분 기능 : 적정 체온의 유지

 

  • 조혈

-태생기 조혈 순서 

10일: 난황낭 -> 2개월: 간->비장 -> 4개월 : 골수, 림프절

 

-태생기 혈구 생성 순서

적혈모구 -> 거핵구 -> 과립구 -> 림프구 -> 단구

 

-골수 외 조혈

성인의 경우 골수 조혈기능의 장애로 태생기 조혈기관인과 비장  및 림프절에서도 조혈작용이 일어남.

 

-Hematopoietic stem cell의 분화

조혈줄기세포는 골수구계(CFU-GEMM), 림프구계(CFU-L)로 나뉜다.

골수구계(CFU-GEMM)는 CFU-GM, CFU-Eo, CFU-Baso, CFU-Meg, BFU-E로 나뉘어 있으며, 

CFU-GM은 CFU-G, CFU-M으로 나뉘고, BFU-E는 CFU-E로 나뉨

림프구계(CFU-L)는 T cell progenitor, B cell progenitor로 나뉜다.

 

  • 정상세포의 성숙과정

<특징>

cell size는 점점 작아진다. 

세포질의 색은 파란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함.

N/A ratio는 감소.

염색질은 뭉쳐서 진해진다.

 

-핵에서 발생하는 변화 

1. 핵소체 소실

2. 핵 크기 감소

3.핵 염색질 응집

4.핵 모양의 변화 (백혈구계)

5. 핵의 소실 (적혈구계)

 

-세포질에서 발생하는 변화 

1. 염기성 소실

2. N/C비 감소

3. 과립 출현 (과립구계 백혈구)

 

  • 적혈구 

- 적혈구 생성인자

1. Intrinsic factor(위)

2. vit B12, 엽산

3. Fe, Co(무기물질)

4. 단백질

5. Erythropoietin(EPO)

6. 저산소 분압 (분압 감소-> 적혈구 감소 -> EPO증가)

 

- Erythropoietin(EPO)

1. 알파2- globulin에 속함 (전기영동의 위치)

2. 적혈구 생성 자극인자

3. 95% 이상 신장에서 생성, 5% 간에서 생성

4. CFU-E 단계에서 가장 예민하게 작용함

 

  • 적혈구의 성숙과정 (순서, 이름)

1. 전적혈모구(Pronormoblast)

  - 핵 : 염색질은 섬세한 그물 구조, 핵소체는 1-2개 있다, 세포분열, N/C ratio = 8:1

  - 세포질: 많은 양의 RNA합성 (파란색)

 

2. 호염적혈모구(Basophilicnormoblast)

  - 핵: 염색질은 약간 농축, 핵소체는 불분명함, 세포분열, N/C ratio = 6:1

 

3. 다염적혈모구(Polychromatophilicnormoblast)

  -  핵: 핵소체 없다, 염색질 더욱 농축, 세포분열이 가능한 마지막 단계의 적혈모구, N/C ratio = 4:1

  - 세포질: 50-80% 혈색소 합성 

 

4. 정염적혈모구(Orthochromaticnormoblast)

  -  핵: 대체로 편재성, 염색질은 농축됨, N/C ratio = 2:1, 세포분열X, 탈핵과정이 일어남

  -  세포질: 거의 분홍색이나 RNA합성으로 약간 푸른색

 

5. 그물 적혈구(Reticulocyte)

   - 세포질 :RNA가 남아 있어 다염성, 중앙의 창백대 없다, 초생체 염색에 의해 그물구조물이 나타남,

   골수에서 말초혈액으로 방출되는 시기, 혈색소 합성가능

 

6. 성숙 적혈구(Mature erythrocyte)

   -세포질: 혈색소를 합성하지 못함, 수명 120일 

 

  • 적혈구의 대사작용

1. 적혈구의 대사경로

(1) Embden-Meyerhof pathway

  - 글루코스 대사의 90%담당

  - 2 mol의 ATP를 생성

  - Pyruvate kinase가 결핍되면 용혈빈혈을 유발

(2) Hexose monophosphate shunt

  - 글로코스 대사의 5-10%를 담당 

  - 항상화 작용 경로

  - Heinze body를 형성

  - G-6-PD 효소 결핍이 가장 흔함 

(3) Methemoglobin reductase pathway

  - 철을 2가 형태로 유지 

  - Met-Hb 환원효소 결핍 시 Met-Hb(3가철)이 축척되어 청색증을 유발 

(4) Leuberring-Rapaport shunt

  -2,3-DPG를 생성하여 산소해리를 촉진

 

  • 적혈구막의 구조와 기능

- 적혈구막의 구조

  - 지질, 단백질, 탄수화물로 구성

  - 주된 막골격 단백질은 스펙트린

  - 콜레스테롤의 축적막표면적을 증가시켜 표적적혈구(target cell)나 유극적혈구(Acauthocyte=spur cell)를 형성

  - 스펙트린 단백질의 감소는 막표면적을 감소시켜 구형적혈구나 타원적혈구를 형성

 

- 적혈구막의 기능

(1) 변형능 (유연성)

    -  ATP가 감소하거나 calcium이 침착하면, 변형능이 감소

 

(2) 투과성

    - 양이온은 능동적인 기전에  의해 K+이온은 세포 내로 Na+이온은 세포 밖으로 수송됨으로 정상 적혈구의 세포 내에는 

      K+농도가 높고,  Na+과 Ca++농도는 낮다.

 

  • 혈색소

(1) 혈색소의 구조

Hb 1분자 = 1분자의 globin + 4분자의 heme

 

(2) Heme 합성과정

Succinyl CoA + Glycine 축합반응 -> ALA -> PBG -> Uroporphyrinogen III -> Coproporphyrinogen III -> Protoporphyrinogen IX -> Protoporphyri IX -> Heme -> Globin

 

다음글은 적혈구 이상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!

응원합니다. 파이팅!!!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