임상병리사 #국가고시 #백혈구 #응고인자 #혈액질환1 임상병리사 국가고시 혈액학 완벽정리!!!! -혈소판, 응고인자 거핵세포계 및 혈소판 1. 거핵세포계의 성숙과정 CFU-GEMM -> CFU-M -> Megakaryoblast -> Promegakaryocyte -> Megakaryocyte -> Platelet (1) 거핵모구 10~30마이크로미터 Thrombopoietin의 자극에 의해 성숙되며, 다른 조직으로 이동중일 때 말초혈액에서 가끔 볼 수 있다 모양이 소림프구와 비슷하다 핵소체가 관찰된다 (2) 거핵구 30~150마이크로미터 혈소판의 전구세포이다 골수에서 가장 큰 정상 골수세포이다 배수체는 보통 8~16N이며, 거핵구 한 개당 평균 1,500~2,000개의 혈소판을 생성한다 (3) 혈소판 2~4마이크로미터 핵없다 알파 과립은 Wright's 염색에서 청자색을 보인다. 고밀도 과립은 전자 현미경 관찰 가능.. 2023. 3. 5. 이전 1 다음 반응형